- 영문명
- Few-shot learning using the median prototype of the support set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백으뜸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Vol12, No.1, 24~3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메타 학습(meta learning)이란 즉각적으로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별하는 메타 인지로 적은 양의 데이터로 스스로 학습하고, 학습한 정보와 알고리즘으로 새로운 문제에 적응하며 해결하는 학습 방식이다. 그 중, few-shot 학습 방법은 메타 학습 방법의 한 종류로 매우 적은 학습 데이터 (support set)으로도 질의 데이터(query set)를 올바르게 예측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클래스의 mean-point vector로 생성한 프로토타입의 한계점인 높은 밀도값을 낮추면서 이상치(outlier)값을 극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을 해결하기 위해, 딥러닝 모델에서 feature를 추출하고, 획득한 feature사이의 요소별로 중앙값 계산하여 프로토타입을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 후, 앞서 생성한 중앙값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few-shot 학습 방법에 사용한다. 제안한 방법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필체 인식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기존의 방법보다 향상된 성능을 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Meta-learning is metacognition that instantly distinguishes between knowing and unknown. It is a learning method that adapts and solves new problems by self-learning with a small amount of data.A few-shot learning method is a type of meta-learning method that accurately predicts query data even with a very small support set.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solve the limitations of the prototype created with the mean-point vector of each class. For this purpose, we use the few-shot learning method that created the prototype used in the few-shot learning method as the median prototype. For quantitative evaluation, a handwriting recognition dataset and mini-Imagenet dataset were us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Ⅲ. 제안한 방법
Ⅳ. 실험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