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Teaching Method of Onomatopoeia words and Mimetic wor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숙진 민진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803~81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의태어 목록을 선정하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의성어⋅의태어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방법 연구 방법으로 선행 연구자들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및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어휘 목록, 초등학교 국정 교과서에 수록된 의성어⋅의태어를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용 의성어⋅의태어 목록을 구축한다. 또한 어휘 목록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목적에 따라 일반 목적과 학문 목적으로 구분하여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방안을 제시한다.
결과 연구를 통해 공통적으로 나타난 총 94개의 어휘로 한국어 교육용 필수 의성어⋅의태어 목록을 구축하고 이를 초급, 중급, 고급의 등급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의성어⋅의태어 교육을 확대할 때 보충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확장 총 319개의 의성어⋅의태어를 목록화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의성어⋅의태어를 바탕으로 K-POP ‘Gee’, 한국 단편 소설 ‘소나기’를 활용한 구체적인 한국어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의성어⋅의태어 교육을 통한 어휘력 확장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고자 한국어 교육용 의성어⋅의태어 목록을 구축하고 그것을 활용하여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의성어⋅의태어 목록을 활용한다면 한국어 교수자들에게는 한국어 교재의 집필이나 한국어 수업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자들에게는 어휘를 질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어휘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list of onomatopoeia words and mimetic wor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present systematic an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onomatopoeia words and mimetic word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a list of onomatopoeia words and mimetic words for Korean education is prepared by analyzing the vocabulary lis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previous researchers, the vocabulary list of TOPIK, and the onomatopoeia words and mimetic words list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addition, it is divided into general and academic purposes according to the learner's Korean learning purpose, and effective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presented based on the vocabulary list.
Results Through this study, a total of 94 vocabulary words appeared in common, The list of onomatopoeia words and mimetic words essentia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presented separately into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grades. In addition, a total of 319 extended onomatopoeia words and mimetic words were listed so that they can be used as supplementary materials when expanding onomatopoeia words and mimetic words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onomatopoeia words and mimetic words created in this way, specific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K-POP ‘Gee’ and Korean short story ‘Shower(소나기)’ were present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a list of onomatopoeia and onomatopoei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expand their vocabulary and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effective onomatopoeia and onomatopoeia education. Using the onomatopoeia and onomatopoeia list built through this study, it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write Korean textbooks or teach Korean, and for learners, it can serve as a meaningful vocabulary material to expand their vocabulary qualita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한국어 교육용 의성어⋅의태어 선정
Ⅳ. 의성어⋅의태어 교육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