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ructural Analysis on Infant Teachers’ Self-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Sensitiv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우수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733~74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민감성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영아반 담임교사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로 연구 도구의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고,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분석을 위하여 Mplus로 측정모형 분석과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민감성에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서지능을 매개로 하여 민감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은 민감성과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며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민감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민감성에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 변인으로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이 중요하며, 사회적 지지 역시 민감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함께 어리이집에서의 사회적 지지를 증진하기 위한 노력 역시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a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fant teachers’ self-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sensitivity in order to get a grasp of the variables affecting infant teachers’ sensitivity.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24 infant teachers of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Using SPSS three analyses were run on the collected data; internal consist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Using Mplus the measurement and structure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input variables.
Results First, infant teachers’ self-resilience had the largest direct effect on their sensitivity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n their sensitivity through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infant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silience affected each other, an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ir self-resilience through their sensitivity. Third, infant teachers’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as well as indirect effects on their sensitivity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silie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self-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would be the variables closely related with infant teachers’ sensitivity. This implied that efforts would be urgently needed to increase infant teachers’ self-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to foster social support in daycare cent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