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latest case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to improve privacy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연 김귀훈 김승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701~7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등 정보과목의 인정 교과서 17종을 대상으로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측면에서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최신 사례를 기반으로 하는 2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방법 정보 교과서 17종을 대상으로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측면에서 분석하고, 보완할 부분과 개인정보 유출 사례를 연결지어 개인정보보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결과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15인의 정보 교사를 대상으로 2차례의 델파이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최신 사례를 접목한 개인정보보호 교육의 필요성, 2차시 수업 분량의 적절성, 각 수업 차시 구성의 적절성에 대하여 모두 CVR 최소값 0.49 이상으로 측정되어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측면에서 중등 정보과목의 인정 교과서를 분석한 뒤 보완할 부분을 확인하였으며, 개인정보 유출 최신 사례를 연결지어 수업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개인정보 유출 사례와 결합한 개인정보보호 교육의 기초 연구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17 types of government-approved textbook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iddle school informatics subject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privacy literacy,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ducational programs for two classes based on the latest cases were developed.
Methods 17 types of government-approved textbook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iddle school informatics subjects were analysed from the perspective of privacy literacy, and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program is developed by linking the parts to be supplemented and the case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Result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two Delphi tests were conducted on 15 informatics teachers.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cond class, and the appropriateness of each class' composition were all measured at a minimum of 0.49 CVR.
Conclus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government-approved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privacy literacy, the parts to be supplemented were identified, and the class was designed by connecting the parts to be supplemented and the latest cas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basic study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