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uctural Analysis of Children’s Teacher-Child Intimacy and Conflict, Social Withdrawal, and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ccording to Media Addiction Leve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춘경 조민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427~4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한국아동패널조사(1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라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사회적 위축,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의존 위험군 집단은 일반군 집단에 비해 더 높은 갈등과 사회적 위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군 집단은 과의존 위험군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친밀감과 삶의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결론 일반군 집단은 과의존 위험군 집단에 비해 친밀감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력을 더욱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의존 위험군 집단은 일반군 집단에 비해 갈등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력을 더욱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위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위해 일반군 집단의 경우 교사와의 친밀한 관계 형성이 필요하며, 과의존 위험군 아동의 경우 갈등관계 형성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eacher-child intimacy, conflict, and social withdrawal on life satisfaction, and how these variables were related to media addiction level.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Korea Children's Panel Survey(12th year)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d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The SPSS and AMOS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child intimacy and conflict, social withdrawal,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media addiction. The overdependency risk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conflict and social withdrawal than the general group, and the general group showed higher intimacy and life satisfaction than the overdependency risk group. Second, the influence of teacher-child intimacy and conflict on social withdrawal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edia addiction.
Conclusions The general group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intimacy on social withdrawal was lower than that of the overdependence risk group, and the overdependence risk group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conflict on social withdrawa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group.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social withdrawal, the general group needs to form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children at risk of overdependence need to pay attention to preventing confli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