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confidency, satisfaction and academic 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수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401~4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A대학교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미숙아 간호 시나리오를 개발한 후 간호시뮬레이션 실습에 적용하여 대상군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만족도,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한 연구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A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89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 29일부터 11월 21일까지 진행되었다. 간호시뮬레이션 기반 미숙아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전⋅후로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학습만족도, 학업적 효능감를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Cronbach’s α, 빈도, 백분율, 대응표본 t-test,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미숙아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전⋅후 임상수행능력(t=1.674, p=.097)과 자신감(t=-.574, p=.568), 만족도(t=-.9509, p=.345)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학업적 효능감(t=-9.07, p=.008)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에 미숙아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은 학업적 효능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향후 다양한 미숙아 질환을 적용한 시나리오 개발로 간호학생의 신생아 실습 분야의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developing a simulation-based prematurity scenario fo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and applying it to nursing simulation practice to verify the effects on the subject group's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elf-confidence, satisfaction, and academic efficacy.
Methods This study is conducted from August 29 to November 21, 2022, targeting 89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Clinical performance, self-confidence, satisfaction, and academic efficac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nursing simulation-based nursing simulation training for premature infan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Cronbach’s α, frequency, percentage,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confidence, and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preterm infant nursing simulation training, and academic 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nursing simulation training for premature infant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academic efficacy.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n the field of neonat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by developing scenarios applying various premature infant disease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