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ervice teachers' scientific imagination in model-based exploration using complex dat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혜윤 유선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171~18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에서 나타난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상상력의 표현과 인식 변화를 조사하였다.
방법 충청도 소재 대학생 23명을 대상으로 4주간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 수업을 시행하고 설계 기반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수업 과정에서의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의 발현 및 인식을 분석하였다. 수업 중 예비교사가 작성한 활동지 및 수업 전후 실시한 설문 조사, 심층 면담 내용을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 발현 내용 및 모델 기반 탐구가 과학적 상상력 발현에 미친 영향,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결과 복잡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델링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과학자들의 과학적 상상력 특성인 ‘감성적 이해’와 ‘창의적 변형’의 과학적 상상력을 발휘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를 통해 과학적 상상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결론 모델 기반 탐구를 통해 과학 탐구 과정에서 과학적 상상력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으며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수업 과정에서 과학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nd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scientific imagination in a model-based inquiry using complex data
Methods A model-based inquiry experiment class was conducted for 4 weeks with 23 college students in Chungcheong-do, and a design-based research method was appli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xpression and perception of scientific imagination.
Result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modeling complex data,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emotion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transformation imagination.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imagination.
Conclusions Through model-based inquiry,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maginatio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and this change in percep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xperience of exercising scientific imagination in the class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