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ction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 Major Courses for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연 김영숙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139~15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등영어교사 양성과정의 전공 교과목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도입하여 수업 운영을 한 후 수업 개선의 양상과 학습자 및 교수자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실행연구로서 총 4단계에 걸쳐 체계적으로 실시되었는데, 이는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2개 선정, 교과목 평가 계획 재설계 및 다양한 평가 도구 활용을 위한 평가 루브릭 개발, 설계된 교수⋅학습 평가 방법으로 교과목 운영, 그리고 설문을 통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및 성찰일지를 통한 교수자 인식분석이다. 선정된 교과목에 적용된 평가 방법은 기존의 지필평가 이외에 프로젝트 평가, 자기평가, 동료평가, 관찰평가, 발표평가, 과업수행평가 등 다양한 과정 중심 평가 방안들이었다.
결과 2022학년도 2학기에 수업 운영 결과, 2개의 전공 수업의 개선된 양상은 균형 잡힌 성취기준의 설정, 교수⋅학습⋅평가의 연계성 구축, 평가의 타당성 제고,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와 자율성 제고 측면이었다. 또한 2개 전공 교과목의 수강생 52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말 설문 조사 결과, 학생들은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수업이 예비영어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과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인식하였다. 한편 교수자들은 과정 중심 평가 방식에 따른 수업 개선을 통해 교수활동의 변화와 학습자들의 성장을 돕는 ‘학습을 위한 평가’를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도한 과정 중심 평가의 전환은 대학 및 교원양성과정의 전공 교과목 평가 방법의 개선과 교수 방법 설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attempted to implement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POA) in secondary English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examined the aspects of course improvement and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instructors.
Methods As an action research,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systematically in four stages, which included selection of two major courses, redesign of course evaluation plan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rubrics, the administration of the POA-based courses, and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survey and instructors’ reflective journals. Various POA-based methods such as project-based assessment, self-assessment, peer assessment, observation, presentation, and task performance evaluation were adopted including existing paper-and-pencil test.
Results As a result of the one-semester class operation, the improved aspects of the courses were the setting of balanced achievement standards, the establishment of connectivity between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the improvement of validity of evaluation, and the enhancement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autonomy. In addition, 52 students in the courses recognized the POA-based courses helpful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owth as pre-service English teachers. Furthermore, the instructors perceived positive changes in their instructional behaviors conducive to students’ learning growth through adopting POA-based courses.
Conclu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ajor subject assessment methods in universities and teacher training cour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실제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