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s of Calling and Psychological Capital on Grit of General Hospital Nur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미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57~6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 그릿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2곳의 종합병원 간호사 132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5월 10일부터 6월 11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소명의식은 긍정심리자본(r=.554, p<.001), 그릿(r=.16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긍정심리자본도 그릿(r=.285,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그릿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 중 직위 일반간호사(β=.20, p=.047)와 긍정심리자본(β=.17, p=.008)으로 나타났으며, 21.6%를 설명하였다(F=4.35, p<.001).
결론 간호사의 그릿 증진을 위해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 및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지원적인 조직 환경 마련 등의 제반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all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grit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also, influence of calling and psychological capital on gri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132 nurses at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6.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Call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554, p<.001) and grit (r=.161, p<.001),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lso had grit (r=. 285, p<.001) and i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grit were the position of general nurse (β=.20, p=.047)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17, p=.008), with 21.6% explained (F=4.35, p<.001).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grit of nurses, various efforts are needed, such a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and strength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provision of a supportive organizational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