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wareness of Korea Tourism through Big Data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오익근 이태숙 전채남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39권 제10호, 107~1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들의 관광인식을 SNS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고자 2014년부터 1월 1일- 12월 31일까지 1년간의 네이버, 다음, 구글의 ‘관광/여행’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웹페이지, 개인들이 운영하는 블로그, 공신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뉴스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데이터 수집 및 처리 프로그램인 TEXTOM을 활용하였고, 데이터는 UCINET와 함께 패키지화된 NetDraw를 활용하여 연결정도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그리고 아이겐벡터 중심성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해외 주요 관광국가 및 도시, 국내 주요 관광도시 등의 웹가시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가족여행, 자유여행, 해외여행, 신혼여행 등의 관광행태와 숙박 관광과 2박 3일, 3박 4일 등의 여행일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 외에도 안전, 관광주간, 관광두레, 해미읍성이 비중있게 포함되어 2014년의 사회 환경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국내 관광환경 변화에 대한 관광인식 진단은 실현가능한 관광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ourists’ awareness of tourism through SNS big data. For this, this study collected data containing ‘tourism/travel’ keywords from web pages, blogs and news on Naver, Daum and Google during one year from January 1 through December 31, 2014.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EXTOM, a data collecting and processing program and from those data,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were analyzed by utilizing packaged NetDraw along with UCINE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web visibility of foreign and domestic tourist destinations was high. In addi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web visibility was also high for tourism types such as family trip, free-style trip, overseas trip and honeymoon; overnight tourism; and tour itinerary such as two nights and three days, three nights and four days. Except this, tourism safety, tourism week, Tour Doorae(tourism cooperative group) and Haemi-eup Fortress were included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tourism characteristics in 2014 were identified. It is expected that this diagnosis on awareness of tourism according to changes in domestic tourism environment by using these social media will be a foundation of baseline data useful for establishing tourism marketing strategi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