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Specialization in the Area of Culture Tourism: Case of Suwon Hwaseog Visitor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송화성 윤자연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39권 제6호, 185~20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국문 초록
국내 문화관광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며, 국내 문화관광객은 일반 나들이객(general tourist)에서 전문화(specialization)된 문화관광객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관광객에게 문화 전문화의 어떠한 측면(dimension)이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화 과정을 바탕으로 한 문화관광객의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일환인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사용하였으며, 수원시의 대표적인 문화관광지인 수원화성 및 관련 문화관광지를 방문하는 답사프로그램인 ‘화성학교’ 참가자 및 기존 수원화성 문화관광에 참여한 일반문화관광객을 포함하여 총 8명을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관광객들이 시간에 기존에 해외의 야외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주로 적용․연구되어 왔던 전문화 개념의 국내 문화관광 분야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수원문화관광객은 기존 야외 레크레이션 전문화 구성개념 및 해외 문화관광객 선행연구와 구별되는 ‘신체적․사회적 기술의 축적’인 ‘인맥’, 차별화․고급화의 욕구’, 그리고 ‘비용․시간․노력의 투자’면이라는 새로운 전문화개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Koreas' interest in traveling to culture sites has increased, thus, there may be types of tourists who progress from general tourists to specialized cultural tourist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which dimensions of culture specialization exist in Korean tourists. As a methodology, ground theory has been used throughout this paper to explain the experience of culture tourists based on their specialization process.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f eight culture tourists who visited to Suwon Hwaseong castle frequently. Results show that the culture tourists tended to progress over the time period in terms of specialization.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Suwon culture tourists are prominently featured in accumulation of social and physical skill, investment of time and effort, and desires for difference and luxury. Interestingly, compared to American culture tourist, the network within culture tourists is found in Suwon culture touris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