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ody Image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박민향 한현석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8 No.12, 123~13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첫째, 상관관계 분석결과,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사이에는 r=0.600으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99% 신뢰수준에서통계적으로 유의한 강한 상관관계가 있고, 신체상과 우울 사이에는 r=-0.484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99%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간 정도의 음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상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을 실시한 결과 1단계에서 회귀식은 R²=.316, F=20.571, p<.001로 99.9%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상(β=-.256, p<.05), 자아존중감(β=-.364, p<.01)은 95% 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신의신체상에 대해 민감한 시기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올바른 신체상 정립의 필요성과 자아존중감을 통해 이미 형성된 신체상 만족도의 부정적영향을 중재하여 우울수준을 낮출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body image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First, body imag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r=0.600),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r=-0.484) in the correlation analysis (confidence level of 99%). Second, the effects of body image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had significant influences in step1 from the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2=.316, F=20.571, p<.001, CI 99%). The body image(β=-.256, p<.05) and self-esteem(β=-.364, p<.01)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 depression (CI 95%). Conclusively, the level of depression could be reduced by intervening already formed negative body image with establishing the correct body image and self-esteem in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sensitive to their own body imag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