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satisficarion in major, and career identity among students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남신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3호, 589~59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치기공과 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의 정도와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전공만족도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방법 2022년 8월 29일부터 9월 30일까지 전북지역 소재의 치기공과에 재학 중인 남녀 재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M SPSS Statistic ver. 22.0 statistical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와 1-Way ANOVA, Kruskal-Wallis test,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계수로, 변수 간의 설명력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공선택 동기의 평균점수는 3.07점, 전공만족도 3.71점, 진로정체감은 가장 낮은 2.81점이었다. 전공선택 동기 하위요인으로는 외재적 동기(3.19점)가 내재적 동기(3.01점)보다 높았으며, 전공만족도 하위요인은 관계만족(3.97점), 교과만족(3.92점), 일반만족(3.57점), 인식만족(3.43점) 순이었다. 전공선택 동기는 학년(p<.05), 학과 선택에 영향을 준 인물(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전공만족도는 성별(p<.01)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변수 간에는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r=.445, p<.001), 전공선택 동기와 진로정체감(r=.227, p<.05)이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공선택 동기의 하위요인인 내재적 동기(β=.043, p<.001)는 전공만족도에 19.5%의 설명력(Adj R2=.195)을 나타내었다.
결론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치과기공사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공선택에 있어 내재적 동기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학과 선택의 당사자인 고등학생들의 내재적 선택동기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of students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o understand the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Methods From August 29 to September 30, 2022,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20 male and female students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in the Jeonbuk reg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 ver. 22.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1-Way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major selection motivation was 3.07, major satisfaction was 3.71, and career identity was the lowest at 2.81. As for the sub-factor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3.19) was higher than intrinsic motivation(3.01), and th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were relationship satisfaction(3.97), subject satisfaction(3.92), and general satisfaction(3.57). cognitive satisfaction(3.43), in order. Major selection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ade(p<.05) and person who influenced the choice of department(p<.05), and major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p<.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r=.445, p<.001), and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identity(r=.227, p<.05), respectively. Intrinsic motivation(β=.043, p<.001), a sub-factor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ve a 19.5%(Adj R2=.195) explanatory power for major satisfaction.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sitive impression of the profession by providing students with accurate information about dental technicians. In addition, since in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affects major satisfaction,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intrinsic mot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the parties to major sele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