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nvergence thinking of college freshm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주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3호, 507~52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자기 주도성과 융합적 사고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와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의 관계룰 조절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6월 1일부터 7일까지 수도권에 소재한 4년제 A 대학교 신입생 1,988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 척도, 문제해결력 척도, 융합적 사고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은 Process Macro 모델 7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상정된 주요 변인들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자기주도성, 문제해결력, 융합적 사고, 사회적 지지 모든 변인들 간 상관이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자기주도성과 융합적 사고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문제해결력은 자기주도성과 융합적 사고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의 검증결과 자기주도성과 융합적 사고 간의 관계를 문제해결력이 매개하고, 사회적 지지가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분석결과를 통해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신입생 진입 프로그램 및 학교생활 적용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도출하고, 이를 위한 실제적 방안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ion and convergent thinking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at mod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college freshmen.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1,988 freshmen at a 4-year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June 1 to 7, 2022 using the self-direction scale, problem-solving ability scale, convergent thinking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7.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major variables assumed, the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such as self-direction, problem-solving ability, convergence thinking, and social support were sta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ion and convergence thinking, it was found that problem-solving abilit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ion and convergence thinking.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mod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Fourth,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problem-solving abil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ion and convergent thinking,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at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problem-solving ability was significant.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e importance of the freshman entry program and school life application program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as derived, and the necessity of preparing practical measures for this wa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