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ypes of Longitudinal Changes in Youth Career Maturity and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Social Activ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주랑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3호, 295~31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의 변화궤적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패널 4~6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 변화궤적 유형화를 위해서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예측요인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수준은 총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변화궤적따라 3개 집단은 각각 저수준 증가집단(1.8%), 평균집단(95.1%), 고수준 감소집단(3.1%)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수준별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활동은 타인배려, 협력행동, 봉사활동으로 나타났다. 타인배려 행동이 높을수록, 고수준감소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행동 및 봉사활동은 저수준증가집단 및 평균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집단별로 나누어 유형화하고, 집단 구분에 사회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는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해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배려, 협동학습, 봉사활동에 대해 학교 차원에서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ategorized the trajectories of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een, and verified th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each type.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4th year among the 2013 panel data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As an analysis metho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as excuted to classify a career maturity change trajectory of a teenager and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was proved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career maturity level of the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nd according to the change trajectory, the three groups were classified into a low-level increase group (1.8%), an average group (95.1%), and a high-level decrease group (3.1%). Second, the social activities that affect the group classification by level were care for others, cooperative behavior, and volunteer activitie, and the higher the care for other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level decrease group. Cooperative behavior and volunteer activities were likely to belong to the low-level increase group and average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categorized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into group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on the grouping. It shows that intervention at the school level is necessary for the variables of other-care, cooperative learning, and volunteer activities that affect the potential group classification in order to improve career matur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내용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