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망막박리가 동반된 수정체 탈구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공기-액체교환술과 함께 플랜지를 이용한 공막고정술을 시행한 증례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두 명의 환자가 단안의 시력저하를 주소로 본원 외래를 방문하였다. 내원하여 시행한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증례1 환자는비측 섬모체소대 해리를 동반한 수정체 탈구 소견이 발견되었고, 증례2 환자는 인공수정체 탈구 소견이 관찰되었다. 두 환자 모두망막박리가 동반되어 수술 중 유리체절제술 및 공기-액체교환술을 함께 시행하였으며, 인공수정체를 공막에 고정하기 위해 인공수정체 지지부를 저온소작기로 녹여 플랜지를 만든 후 공막터널로 삽입하였다. 수술 직후 저안압, 유리체출혈 등의 합병증이 나타났으나추가적인 치료 후 안정화되었다. 술 후 각각 1년 6개월, 6개월째 인공수정체와 관련된 합병증 없이 인공수정체의 위치는 양호하였다.
결론: 플랜지 형태의 공막고정술은 유리체절제술 및 공기-액체교환술이 필요한 망막수술에서도 인공수정체를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영문 초록
Purpose: We report two cases in which vitrectomy, air-fluid exchange, and flanged intrascleral fixation were employed to treat crystalline or intraocular lens dislocation associated with retinal detachment.
Case summary: Two patients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visual disturbance in the right and left eye respectively. At the initial visits, slit-lamp examination revealed subluxation of a crystalline lens (with zonulysis on the nasal side) in case 1 and dislocation of an intraocular lens (IOL) in case 2. Since retinal detachment was accompanied in both patients, they also underwent vitrectomy and air-liquid exchange during surgery. To fix the intraocular lens to the sclera, both ends of IOL haptics were cauterized using a low-temperature handheld device and flanged haptics had been deeply inserted into scleral tunnels. The intraocular pressure fell and vitreous hemorrhage developed immediately after surgery, but improved on additional treatment. At 18 and 6 months (cases 1 and 2) after surgery, the implanted IOLs were moved to the centers of the pupils without complications.
Conclusion: Flanged intrascleral fixation is stable and effective when treating a patient who requires vitrectomy and air-fluid exchange to deal with a retinal disease.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