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nguage Sensibility; A First Step toward the Progressive Society - Ji Young Shin, ‘High Jump of Language,’ Influential, 2021.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지용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6호, 651~6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언어를 통해 드러나는 나와 상대방, 그리고 사회의 모습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실천적 행위를 통해 이를 다듬어 나가는 진보적 언어 행위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언어 감수성’을 일깨워야 한다. 저자 신지영은 전작 『언어의 줄다리기』에 이은 『언어의 높이 뛰기』에서 언어 민감도를 향상할 필요에 대해 주장한다. 그리고 이 언어 민감도를 ‘언어 감수성’으로 명명하며, 이를 위해서는 역지사지의 원리에 따라 인간, 사회, 문화, 그리고 상대에 대한 이해의 깊이 가 더해져야 함을 여러 사례를 통해 보여 주고 있다. 언어는 사회적 규약이며, 이와 동시에 사회를 반영하고 있다. 우리는 이 두 가지의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우리의 도구인 언어를 다듬어 나가야 한다. 저자는 이러한 행위를 높이 뛰기로 비유한다. 높이 뛰기를 통해 도약함으로써 우리의 언어는 진보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어제보다 나은 우리의 진보를 반영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언어가 우리의 사고에 어떻게 작동하는 지 포착할 수 있는 언어 감수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다양한 측면에서 언어가 반영하고 있는 사회와, 언어를 통해 조성되는 사고를 파악할 수 있을 때, 우리의 언어와 사회는 진보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Language sensibility’ should be alerted to review myself, counterpart, and the society which are revealed by language and to be the subject of the progressive language act that is refined by the practical act. After the previous book, ‘tug of war of language,’ Ji Young Shin, the author of ‘high jump of language,’ argued the needs to improve language sensitivity. Also she named this language sensitivity into ‘language sensibility,’ showing multiple cases that this could be realized by deepened understanding on people, culture, and counterpar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utting yourself in someone else's shoes.
Language is a social norm and applies the society. We consider both characteristics to refine the language which is the tool. The author is compared these behaviors with high jump. Leap by high jump can advance our language. To apply the language with our progresses better than yesterday, language sensibility should be secured to be able to understand how the language works for our thinking processes. Our language and society can advance only if the society that language is applied in multiple aspects and thinking by language are well understood.
목차
1. 들어가며
2. 언어에 반영되는 사회
3. 언어로 규정되는 관계
4. 언어가 조성하는 생각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