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김동식
- 간행물 정보
- 『ISSUE PAPER』기본연구사업[2022], 1~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14
국문 초록
■ 성·재생산 건강과 권리는 건강 분야를 넘어 국민의 삶 전반에도 연관되어 있으며, 특정 생애를 넘어 아동부터 노인에 이르는 전 생애에 걸쳐 모든 사람이 경험하는 이슈임.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는 성·재생산 건강에 대한 보편적 접근은 모든 사람의 삶의 질 향상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 있음(WHO, 2017). 구트마허 연구소(Guttmacher Institute)는 삶의 질 제고를 위해서는 성·재생산 관련 서비스의 질 역시 확보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는데, 특히 모든 사람들이 동등한 권리에 기반하여 최고 수준의 질 높은 보건의료서비스로의 접근과 이용이 경제적·사회적·지역적 차별과 낙인이 없이 자유로워야 함을 제시함(Barot, 2015).
■ 성·재생산 건강과 권리(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 이하 SRHR)는 국가정책의 주요 패러다임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관련 필요과제를 제안함.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