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Color Preference in School Spa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달효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호, 791~80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생들의 학교 공간별 색채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방법 275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실, 복도, 화장실, 식당, 강당, 특별실 등 학교 공간 곳곳에 대한 색채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 방법으로는 SPSS 프로그램의 교차분석(χ2) 및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빈도분석은 학교 공간별 색채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서이고, 교차분석은 색채 선호도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결과 중학교 남학생들과 여학생들은 교실, 복도, 화장실, 급식실, 수학실, 영어실, 미술실, 음악실, 도서관, 강당, 외벽 등 대부분의 학교 공간에 대한 기본 선호 색채로서 화이트 색채를 공통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과학실 공간에 대한 기본 선호 색채로서 남학생들은 블루 색채를 가장 선호하는 반면, 여학생들은 화이트 색채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학생들의 학교 공간별 색채 선호도 분석 결과에 의하면 교실, 복도 등 다양한 학교 공간별로 학생들은 화이트 색채를 선호하였기 때문에 이들 공간에 화이트 색채를 기본 색채로 적용해보려는 접근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학생들이 기본 색채로서 화이트 색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화이트 색채로 전체 올인하기보다는 화이트 색채에 어울리는 또 다른 색채를 조화롭게 적용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or prefer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school spac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275 middle school students' color preferences for school spaces such as classrooms, corridors, toilets, restaurants, auditoriums, and special rooms. χ2 of the SPSS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were used as data processing methods. Frequency analysis is to understand color preference by school space, and cross-analysis is to underst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color preference.
Results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preferred white color as the basic preferred color for most school spaces such as classrooms, corridors, toilets, cafeterias, math rooms, English rooms, art rooms, music rooms, libraries, auditoriums, and exterior walls. However, as a basic preferred color for the science room space, male students preferred blue color the most, but female students preferred white color the most.
Conclusions White color is the basis for each school space, but efforts are required to apply another color that matches white color in harmon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