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Colleg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Program Using the IP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효 김주섭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호, 549~5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를 향후 진로적응성 프로그램 개발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충남소재 D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14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살펴보기 위하여 IPA(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를 실시하였으며, Borich계수를 산출하여 상대적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진로적응성의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현재 진로적응성에 대한 수행도보다 중요도가 더 높아 진로적응성의 교육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IPA분석에 따른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가 높은 진로적응성 요인은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자원활용 능력’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적응성 교육내용으로 유지·강화해야 하는 영역으로는 진로목표조정능력, 사회적 책임행동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프로그램 개발 시 축소가 필요한 진로적응성 영역으로는 자기이해, 직업환경 탐색, 긍정진로신념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기존의 학습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nin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adaptability program.
Method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49 students at D university. We were analy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impoartance and performance and were confirmed their educational needs using IPA.
Results As a result for the study: first, we were confirmed the educational needs of career adaptability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career adaptability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of career adaptability. Second, According to the IPA, the career adaptability factors with the highest priority in the eucational needs we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ocial resource utilization ability. Third, Factors in th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area were career goal adjustment ability and social responsible behavior. Fourth, Factors career adaptability with relatively low educational needs were found self-understanding, work environment exploration, and positive career beliefs.
Conclusions Those results will suggest basic directions to development of the career adaptability program at colle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