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Ontological Inquiry on a Couple's Art Therapy Experience for Communication Impro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경희 우연정 최선남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호, 465~48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자영업을 하며 한 공간에서 같이 오랜 시간을 보내는 한 부부의 의사소통 장애가 원 가족 관계에서 경험한 생활방식이나 신념이 부부 의사 소통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그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존재론적인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의뢰한 한 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양육코칭 12회를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얻은 미술작품, 면담, 연구자의 저널 등을 자료로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미술 작업과 면담은 연구 참여자의 사업장에서 진행되었고 각 회기마다 2시간씩 소요되었다.
결과 탐구된 경험 이야기는 ‘내가 머슴도 아니고’, ‘혼나는 나’, ‘말이 너무 많아 힘들어요’, ‘내려놓음’, ‘무시’, ‘불신’, ‘서로 다른 우리’, ‘남자는 다 쓰레기’, ‘대화의 경험’, ‘책임감’, ‘나의 아버지’, ‘문제 해결 방법’, ‘변화 시도’ 등이다.
결론 본 연구는 원 가족관계에서 형성된 생활방식이나 신념이 부부간 의사소통에 어떻게 작용하였는지에 대한 경험을 탐구하고, 부부 의사소통의 향상을 이루는 과정을 관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연구는 유사한 상황에 놓인 부부들에게 부부관계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본원적인 방법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inquiry purpose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that lifestyle or beliefs acquried in the original family relationship affected marital communication.
Methods The inquiry adopted an ontological inquiry method, performed 12 parenting coach sessions for the couple who a child protection agency commissioned, and analyzed resources such as artworks, interviews, and the art therapist’s journals. The therapist guided participants to create artwork and interviewed at their workplace.
Results The inquiry experience stories were , , , , , , , , , , , , and .
Conclusions By inquiring about the couple's therapy experience, it was valuable to observe how the lifestyle and beliefs acquired in the original family and the process of their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Thus, this inquiry method may assist in improving the couple's relationship that is at risk.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의사소통이 어려운 부부의 일상 들여다보기
Ⅳ. 부부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