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to Relational Aggression in South Korea and Foreign Countr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동주 유미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호, 285~30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 목적은 관계적 공격성 관련 변인들의 효과 크기를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2010년부터 2020년 3월까지 국내외에서 게재된 학술지 논문 149편을 선정하여 관계적 공격성 관련 변인들을 추출하였다. 관계적 공격성 관련 변인들의 전체 효과 크기를 확인한 뒤 위험/보호 변인군, 개인 내적/가정환경/또래 및 학교환경/사회환경 변인군으로 범주화하여 그 효과 크기를 산출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변인군에서 연령, 성별, 문화에 의한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모든 변인군에서 중간 정도의 효과 크기를 보였는데, 구체적으로 위험 변인군에서는 또래 및 학교환경 변인군의 효과 크기가, 보호 변인군에서는 사회환경 변인군의 효과 크기가 다른 변인군에 비해 큰 편이었다. 개인 내적 변인군에서는 정신병질, 외현화 행동문제가, 또래 및 학교환경 변인군에서는 학교환경, 공격성 피해, 부정적 교사관계가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 변인군 중 개인 내적, 가정환경 변인군에서 연령의 조절 효과를, 보호 변인군 중 가정환경 변인군에서 성별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보호 변인군 중 개인 내적 변인군에서는 문화에 따른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개입 방안과 차후 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ect size on variables related to relational aggression.
Methods 149 studies were selected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from 2010 to March 2020, variables related to relational aggression were extracted. Total effect size of variables related to relational aggression was calculated, next each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risk and protection variable groups, and into individual internal, family environment, peers and schoo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variable groups, and checked the overall effect size.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s by age, gender, culture were analyzed in each variable group.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ed medium effect size in all variable groups. Specifically, the effect size of peers and school environment variable group in the risk variable group and the effect size of social environment variable group in the protection variable group were larger than other variable groups. Psychopathy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in the individual internal variable group, and class environment, aggression victimization, and negative teacher relation in the peers and school environment variable group were shown to have a large effect size. In addition, individual internal variable group and family environment variable group in the risk variable group had moderating effect by age, family environment variable group in the protection variable group had moderating effect by gender. The moderating effect of culture was confirmed in individual internal variable group among the protection variable group.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uggestion for multilateral interventions to relational aggress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