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ing factors of drinking by gender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households: Data from the 17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미란 윤경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호, 175~18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음주정도와 음주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제17차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중 연구목적에 적합한 764명을 대상으로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다. 한부모가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음주, 건강행동특성의 차이 및 음주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동특성의 차이는 Rao-Scott chi-square검정을 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음주 영향요인은 복합표본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한부모가구 여학생 330명, 남학생434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부모가구의 여학생 53.3%, 남학생 52.3%은 음주를 하고 있었다. 여학생은 음주 유무에 따라 흡연과 성경험에서, 남학생은 현재 흡연과 성경험, 스트레스 인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부모가구 여학생의 음주 영향 요인은 현재 흡연으로 비흡연 여학생보다 5.89배 음주할 가능성이 있었다. 한부모가구 남학생의 음주영향요인은 주관적 체형인지, 현재 흡연, 성경험으로 보통 체형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보다 마르다고 생각하는 청소년이 0.75배, 현재 흡연하는 경우가 비흡연 경우보다 4.92배, 성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2.41배 음주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한부모가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음주 영향 요인의 차이를 인식하고 성별에 맞는 차별화된 금주교육이 필요하며, 한부모가구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rinking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gender of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households.
Methods A total of 764 adolesc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17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The Rao-Scott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rinking, and health risk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of single parent household adolescents, and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and health risk behavior according to drinking. and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for factors affecting drinking according to gender.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330 female students and 434 male students from single-parent households, 53.3% of female students and 52.3% of male students in single-parent households were drinking. The factor influencing drinking among female students from single-parent households was current smoking, which was 5.89 times more likely to drink than non-smoker female students. The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among male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were subjective body type, current smoking, and sexual experience. Male students who considered themselves to be thin drank 0.75 times more than male students who considered themselves normal, smokers 4.92 times more than non-smokers, and students with sexual experience 2.41 times more than non-sexual experienc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gender of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households is needed, and continuous attention from home and school is needed so that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households can grow up health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