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Meanings of the Moon in
of Hyangga, by Yunseondo, by Bangmogwol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완성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1호, 433~4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삼국시대 신라의 향가인 〈찬기파랑가〉, 조선시대 시조인 윤선도의 〈오우가〉, 현대시인 박목월의 〈나그네〉에서 달은 시대별, 장르별, 작가의 종교별로 각각 우리에게 어떤 의미로 이해되는지 고찰해 보았다. 고구해 본 결과 학자에 따라, 〈찬기파랑가〉에서 달은 기파랑을 상징한다고 하고 , 또는 석존과 보살의 상징이라고도 했다. 〈오우가〉에서는 달의 의미를 사람의 도리를 수단으로 삼아 자연을 예찬하는 목적물로 보기도 하고, 자연물로 해석하는 논자도 있었다. 〈나그네〉의 달은 자연물의 달로 보기도 하고, 시적자아로 달을 해석하기도 했다. 혹자는 우주적 생성의 원형으로 보기도 했다. 필자는 승려인 충담사가 지은 향가인 〈찬기파랑가〉는 불교사상을 기저로 한 노래로서 달의 의미를 자연물로 보았고, 조선조 사대부인 윤선도의 시조〈오우가〉의 달의 의미는 자연물에 인간의 도리를 접목한 대상으로 보았으며, 기독교 신자인 현대시인 박목월의 〈나그네〉에서의 달의 의미는 나그네의 표상으로 해석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ed how the meanings of the moon appeared in , a piece of Hyangga, a genre of old Korean folk songs, by Yunseondo, a piece of Sijo, old Korean verses and By Bangmogwol, a contemporary poem, are unfold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s, genres and the religions of each writer. Literature reviews reveals that some researchers considered the moon in the as Giparang, the protagonist in the poem while others saw it as a symbol of the Buddha or a Buddhist saint. The moon in the has been viewed as a natural object or the object of the nature worship as a means of human obligations. The moon in the was interpreted sometimes as a natural object but sometimes as a poetic self or the prototype of the universal form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such:, written by Chungdamsa, a Buddhist monk, is basically a song based on Buddhism and regarded the moon as a natural object. The moon depicted in , written by Yunseondo, a member of the gentry, was an object engrafted human obligations into. Bangmogwol, who was a Christian, saw the moon in his poem a symbol of a traveler.
목차
1. 서론
2. 향가 〈찬기파랑가〉에서 ‘달’의 의미
3. 윤선도의 <오우가>에서 ‘달’의 의미
4. 박목월의 <나그네>에서 ‘달’의 의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