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ND TEACHER TRAINING SYSTEM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태호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2호, 465~48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1
국문 초록
본고는 제2언어로서 한국어 교육의 교수 방법과 교사 양성과정 및 교재에 관해 분석적으로 연구하였다. 많은 교수법이 있었지만 언어교육에 있어서 왕도는 없다고 본다. 단지 필자가 그 동안 해 왔던 교수법을 통합적 개인교수법이라는 이름으로 文法飜譯式 敎授法과 相談, 個人敎授法 등을 통합하여 실시하고 있는 방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교사 양성과정에 있어서는 현재 대학원중심으로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고 있는 것을 보고 학부 중심의 교육이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학부보다 대학원에서 교사를 양성하는 기형적인 제도를 보완하여 정비하고 학부과정을 심도 있게 할 것을 고찰하여 제도적 장치를 완비해야 함을 밝혔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아울러 한국어 교재의 경우 유학생 중심으로 되어 있는 교재를 분야별로 다양하게 만들어야 하는 필연성을 고찰하였다. 근로자를 위한 교재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재가 이직은 초보 단계에 있음을 보고 교재 개발의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make a method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nd analysis to textbook for intermediate learne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principles of immigrated women's Korean language textbook. There are many teaching method, Grammar translation method, Audio - lingual method, Communicative Approach and so on. But I discusse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it was a unitive tutorial method.. The point of unitive tutorial method is all previous educational method plus Confucius tutorial way. Second, KSL(Koeaan as a second language) teacher have to educated by university major part. Because they need a high level knowledge.(language, culture, history and so on). And it is the time of Multi- culture. So many women who came from many nations live in Korea. The teachers who teaches immigrated women are almost volunteers, so they not professional KLS teacher. Therefore we have to make institutional equipment.
목차
Ⅰ. 서론
Ⅱ. 지도방법의 통합 시도
Ⅲ. 한국어 교사 및 교재의 역할과 한계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