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X-hada’ by combination typ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종호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4호, 321~3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X하다’가 독립된 형태로서 기능한다는 사실을 보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하다’에 관한 기존 논의를 검토해 보고 ‘하다’가 ‘서술성', '동작성’, ‘상태성’ 등의 의미 자질을 갖고 독립된 형태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복합어의 결합유형인 ‘명사+하다’, ‘어근+하다’, ‘부사+하다’, ‘외래어+하다’ 등이 X하다‘의 결합방식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는 것을 보이고 이를 결합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X하다‘에서 ’하다‘가 독립된 형태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found that in the ‘X-hada’ patterns, meanings of ’-hada’ are far more diverse than the lexical meaning. The result indicates that it is hard to conclude that the lexical meaning of “-hada’ covers all of its meanings and that various meaning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antecedent, which serves to add a predicative feature. Therefore, it is unreasonable to say that ’-hada’ functions as a derivational affix to define parts of speech without any specific meaning. Of course, ‘-hada’ is more likely to function as an affix after the antecedent in the 'X-hada’ patterns. However,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at combination patterns of ‘X-hada’ are similar in part to those of compound words such as ‘noun+hada’, ‘root+hada’, ‘adverb+hada’, and ‘loan word+hada’, that they have [+actional] [+stative] and [+predicative] semantic features as a verb and an adjective, and that they also function as an independent part of speech, it is considered more reasonable to see ‘-hada’ as a verb to reinforce [+actional] [+stative] and [+predicative] semantic features, once combined with the antecedent.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