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riteria for Sub-category of Korean ‘human’ lexical field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문금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5호, 403~43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낱말의 낱말망(2007)에서 ‘인간’ 어휘장의 하위 분류 기준의 하나인 ‘개별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서 각 하위 어휘장의 의미 범주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한 인간을 속성과 관계, 역할, 성향과 기호, 상황, 자격, 행위 등으로 인식하고, 인간의 속성에 대해서는 능력, 나이, 신체 특성, 성격, 성별로 인식하며,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인간관계를 형성하되 상대에 대한 인지도나 호감도에 따라서 관계를 달리 형성하고 있다. 한 인간이 사회에서 담당하고 있는 역할은 직업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강하고, 인간의 성향과 상황 및 행위는 부정과 긍정으로 나누어 인식하고 있으며, 인간의 자격은 신분이나 직위로 인식하고 있다. 대체로 어떤 존재나 상황을 이분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우리가 한 인간을 어떠한 기준으로 판단하고 인지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as individual human beings' which is one of the criteria of the sub-categories inhumanlexical field(2007) offered by NATMAL corp. and examines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mantic category of each sub-lexical field inhumanlexical field. Throughout this study, we learn that a human being has been perceived with the following criteria: attributes, relationships, roles, propensity&preference, situation, qualification, and conduct, etc. We recognize the man's property by his ability, age, physical attribute, personality, and gender. Depending on awareness and affinity for the opponent, we differently form relationship with him/her in the home, school and society. We have a strong tendency to judge a man's role in his society by his career and perceive his propensity, situation and conduct from two points of view; positive and negative. His qualification is perceived by his position and status. Generally, some situations and existence are recognized as a dichotomy. Through this process, we learn what criteria we see and perceive 'human being'.
목차
1. 머리말
2. 어휘장의 개념과 분류 기준
3. ‘인간’어휘장의 하위 분류 기준과 특징
4. ‘인간’어휘장을 형성하는 의미 범주에 대한 해석
5. 낱말망(2007)의 하위 분류 기준에 나타난 문제점과 대안
6. 마무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