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writing the School Grammar (3) : The Inquiry into the Horizontal Structure of Reported Speech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주세형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5호, 269~28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국문 초록
새로운 학교 문법 교과서는 국어 교과학 전체의 조망 하에서 새롭게 기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본질적 문법 교육과정’이 구상되어야 하며, 그 중 ‘횡적 구조’는 타 영역 지식으로의 전이 가능성을 탐색하는 방향에서 실현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여러 문법 내용 중에서도 특히, 심도 있게 횡적 구조를 탐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 ‘인용 표현’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표현의 힘으로서의 ‘능력’과,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지식’을 밝혔다.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인용 표현과 관련 있는 국어 능력을 추려내었고, 과연 현재 문법 교과서에서 제시된 지식들이 그러한 국어 능력을 달성해 낼 수 있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었다. 그 결과,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를 탐색하고자 할 때, 국어교육 전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능력을 실제적으로 교실에서 가르칠 수 있는 교육 내용으로 담아내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교 문법에서의 문법 지식을 이제까지와는 다르게 기술하여야 함을 역설하였다.
영문 초록
New school grammar textbook should be described in the view of the whole Korean Education. For that reason the essential grammar curriculum should be embodied. This thesis has explored the horizontal structure of reported speech which would be worthy of structuring. First of all, the reported competence as a expression power was listed up in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Then the knowledges in the grammar textboo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petence' criteria. Finally, I've argued that the grammar knowledges should be differently describ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overall Korean ability.
목차
Ⅰ. 문제제기
Ⅱ. 횡적 구조 탐색의 거점
Ⅲ. 지식과 능력의 관계화: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