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본 고는 중국 치치하얼대학교와 자매학교인 한국 동신대학교, 중부대학교, 광주대학교와의 ‘2+2’학제의 성과와 문제점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한국어학과 설립 이래 졸업생과 재학생 현황, 학생 출신, 지원 동기, 출국, 취직 상황 등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교수법, 교재 사용, 교수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문제점을 밝히고 있다. 본 고에서는 ‘2+2’학제를 실시하여 복합형 한국어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학과의 운영 목표로 삼고 현행 커리큘럼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끔 유학비자 문제 검토, 교수요원확보, 교재개발이 완벽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중·한 ‘2+2’ 학제를 실시함에 있어서 학과 운영 목표에 따른 전후연결 즉 학과의 일치성과 상호간 학점인정이 명확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함과 동시에 문제에 따른 자매결연학교의 다변화를 위한 모색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essay describes the result and the controversial point of ‘2+2’ educational system which Qiqihar University has affiliated with Dongsin University, Jungbu University, and Gwangju University in Korea. In this essay, it investigates the present states of graduates and students, the origin of students, the motive of application, departure, and getting employment since establishment of Qiqihar Univers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defines the controversial point which focused the curriculum, teaching method, use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professors.
This essay aims at cultivating the capable people who have ability of compounded Korean and Chinese language in ‘2+2’ educational system. It also comes up with making constant efforts to aim for perfection of studying abroad visa problem, collection of the teaching staff,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 conclusion, this essayindicates that the object of language government should be consistent with China-Korea ‘2+2’ educational system, that is, not only correspondence of the course of study and cross registration system of both countries should be composed definitely but both affiliated schools should search for diversification of many problems awaiting solution.
목차
1. 서론
2. 한국어학과 설립 상황
3. 한국어교육
4. 문제점에 따른 대안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