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copoetry in a Textbook- Focused on Textbooks of High and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란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8호, 75~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생태시 교육을 개편된 교과서에서 다루기를 기대하면서 현 교과서에서 자연을 노래하거나 생태학적 인식을 드러내는 작품을 찾아보았다. 자연을 노래한 작품들을 통해 우리 나라 자연시가 추구했던 이상을 살펴보고, 최근 산업개발 이후 나타난 생태시와의 공통점을 찾아 볼 수 있다.생태시 교육을 광의의 개념으로 살펴본다면, 환경 교육을 뛰어 넘어 인간이 살아가는 삶의 방향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생태시를 학교에서 교육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삶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rticle tries to find the necessity of teaching ecology through the literature education. It also shows what the root of the ecological recognition is and what poems have the ecological consciousness. The ecology education is to mean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correlation of life, the natural structure of organism and the system of chain on the basis of the ecological recognition.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poems about the ecological recognition and destructive environment. One was written before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described the beauty of nature and the harmony between human and nature. The other was written after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time people experienced the separation of human and nature. So, it encouraged people to recognize the role and do something for the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The goal of ecopoetry education is not included in the 7th curriculum. Even though there is ecopoetry in a textbook, the ecological recognition is not taught at all.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nvironmental problem and the direction of life through ecopoetry. So, the goal of ecopoetry education should be added to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ecopoetr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 Korean class.
목차
1. 서론
2.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시
3.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