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oi In Hun plays “Dungdung Narkangdung”'s allegorical reading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두례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7호, 441~45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국문 초록
최인훈 희곡 〈둥둥 낙랑둥〉을 설화의 변용이라는 특징에 주목하여 알레고리로 읽고자 하였다. 알레고리적 특성을 비유담으로 보아 극에 비유된 의미에 주목하였다. 알레고리적 기호가 비유담 내에서 나타나는데, 〈둥둥 낙랑둥〉에서는 인물이 알레고리 기호로 작동되어 추상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다. 왕비와 공주는 호동에게 육체적, 정신적 혼돈을 일으키는 경계로 기능하였으며, 호동왕자는 시대가 겪었던 고통의 현실을 함의하고 있었다. 쌍둥이는 두 개의 기표에 하나의 기의를 내포한 기호로서 단절과 화합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시대사의 범주에서 고구려와 낙랑이 정쟁의 역사를 함의하고 있다는 점과 쌍둥이에 내포된 의미가 분리와 단절의 고통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한반도의 분단과 이념의 단절로 인한 상처를 읽을 수 있었다. 최인훈은〈둥둥 낙랑둥〉에 경계의 모순을 드러내고자 했으며 호동의 혼돈과 죽음을 통해 세계에 맞서고자 하는 저항 의식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Hun plays “Dungdung Narkangdung” is characterized of the folklore transformation. At this paper, this feature were to be read by means of allegory. An allegory characteristics was concerned at the meanings by parable. In the drama, allegorical signifier appeared the figures, and abstract meanings was included at figures. Prince “Hodong” was the sighifier which had pains of times and meanings of reality. Queen and Princess gave the mental, physical confusion to “Hodong”. Twins is the symbol which has two signifiers and one meanings, is an allegorical signifier which has implicit in a double meaning of the disconnecting and harmony, and can be read as an allegory of a divided Korea in points of separating a body by two part, showed the dismal reality by allegory. Hun included the contrdictions of the border and the resisting consiousness at world in “Dungdung Narkangdung”
목차
Ⅰ. 서론
Ⅱ. 최인훈 희곡과 알레고리
Ⅲ. 〈둥둥 낙랑둥〉의 알레고리 양상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