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Court Language in Korean Dictionar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홍석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6호, 393~41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1

국문 초록
궁중어는 일반인과의 차별성, 품위 있는 언어 사용, 자기 신분 과시나 우월감, 공동체 의식 형성 등을 위해 나타난 특수어이다. 그 출현 시기는 고려시대로 한자어가 대세를 이룬다.본고는 1999년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궁중어를 살펴본 것이다. 각각의 궁중어를 인체어와 그 관련어, 서술어, 의복류 및 장신구 관련어, 음식, 사물, 행위, 호칭, 장소 등으로 분류해 보았고, 각각의 의미와 형성 과정, 그리고 그 기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그 결과 궁중어는 한자어가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고유어가 많았으며, 한자어와 고유어가 결합한 합성어도 상당수 있었다. 또 궁중어 중 일부분은 음절이 생략되거나 異化하는 경우, 그리고 訛傳되면서 만들어진 경우가 많았는데, 이러한 현상은 편의성과 경제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음절의 첨가나 의미의 확장 그리고 이두에서 비롯된 것 등도 있었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궁중어
3.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