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quirement and Extension of th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in the Expressio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9호, 71~9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표현 교육의 확장과 통합이라는 입장에서 국어교육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식성 논의, 비판적 언어 인식에 대한 논의 등을 정리하고 표현 교육의 한계, 가능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 이해와 표현의 본질이 방법적, 기능적 접근의 숙달에 있는 것이 아니라, 목적의 도달에 있음을 강조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표현과 이해 행위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이들 행위에 대한 교육적 요구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 연구에서는 표현과 이해 행위의 통합적 특성, 순환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들 요구와 그에 따른 표현 및 이해 행위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설명하고 이에 따른 표현 교육적 접근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시도한 논의는 교육 내용이나 방법의 개발이라기보다는 원리와 관점에 대한 변화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교육 행위의 제시에 초점을 두지는 않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rranged the argument of the literacy, Critical Language Awareness and etc, then discussed the limit and possibility of the express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ssentials of th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education are not in wellness of the methodological, functional access but in reason of the that education. This study explained the changing awareness of th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education and derived the expression educational approach in the integrity and circularity of the comprehensive and expressive acts. Though this approach is in difficulties for giving the concreteness in the educational act, it tries to suggest the indefinite plan but is not sufficiently complete.
목차
1. 들어가며
2. 표현을 위한 이해
3. 이해와 표현에 대한 요구
4.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보는 이해와 표현의 외연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