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ogic and Direction Groping of a Content and Reality of a Elementary Literary Teaching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선주원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8호, 609~63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국문 초록
이 글은 초등 문학교육의 내용과 실제의 연관성, 교육 내용과 실제를 구안하는 논리와 방향 등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첫째, 초등 문학교육의 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의 논리와 방향, 둘째, 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의 논리와 방향에 비추어 현행 교육과정에 제시된 초등 문학교육의 교육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의 타당성 여부, 셋째, 교육 활동의 논리와 방향의 측면에서 현행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문학교육 활동과 실제의 타당성 여부 등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논의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문학교육의 내용 체계는 실제를 상위 범주에 놓고,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 맥락 등을 하위 범주로 설정하는 틀이 적절하다고 본다. 둘째, 초등 문학교육의 교육 내용으로 태도 범주 및 맥락 범주와 관련된 성취 기준들의 예를 제시하였다. 셋째, 초등 문학교육의 교육 내용들 간에는 연계성, 위계성, 통합성의 원리가 고려되어야 함을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수·학습’ 사항을 통해 살펴보았다. 넷째,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활동을 통해 초등 문학교육의 실제를 살펴보았는데, 연계성 측면에서 타당하지만, 위계성의 측면에서는 타당하지 않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made the research purpose that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the content and reality of the elementary literary teaching, the logic and direction designing the teaching content and reality. A researcher examined First, the logic and direction of the teaching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elementary literary teaching. Second, Yes or no of the propriety on the teaching content system and accomplishment standard of the elementary literary teaching presented a contemporary curriculum comparing the logic and direction of the teaching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Third, the yes or no of propriety of a literary teaching activity and reality presented a contemporary elementary korean textbook in a side of the logic and direction of the teaching activity. The examination result is the next. First, a researcher thinks that is desirable that the system of the elementary literary teaching puts the activity on the higher category, puts the knowledge, reception and production, attitude, context on the lower category. Second, a researcher presented the example of a accomplishment standards connected the attitude category and context category as a teaching content of the elementary literary teaching. Third, examined that is considered the principle of a connecting, hierarchy, unifying between teaching contents of the elementary literary teaching, through the ‘instruction’ items presented in a korean curriculum. Fourth, examined the reality of a elementary literary teaching through the learning activity presented a elementary korean textbook, has a propriety in a connecting side, but does not have a propriety in a hierarchy side.
목차
1. 초등 문학교육의 내용과 실제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2. 초등 문학교육에서 내용 설계의 논리와 방향
3. 초등 문학교육의 실제 설계의 논리와 방향
4. 논의를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