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on Lexical Competence and Vocabulary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영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8호, 387~41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어휘 능력 및 어휘 학습에 대한 초등 학습자의 인식을 질문지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어휘 교육의 내용 설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4개 학교, 8개 학급 180명의 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 기법을 활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방법은 질문지의 성격을 고려하여 양적, 질적 방법을 병행하였다. 자신의 어휘 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는 전체 74명(41%)의 학생이 ‘보통’을 선택하였고, Likert 척도 평균 3.14점을 기록했다. 어휘력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전체 93명(51%)의 학생이 ‘매우 중요함’을 선택하였다. ‘어휘 실력이 뛰어난 사람’을 써 보라고 했을 때 52%의 학생들이 학급 친구 중 한 명을 선택했다. 전체 80명(44%)의 학생이 ‘책 많이 읽기’를 어휘 학습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61%의 학생이 독서 외에는 특별한 어휘 학습 방법을 지니지 못한 것으로 보아 초등학생의 모국어 어휘 학습 전략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learners on lexical competence and vocabulary learning, and analyze the results, to provide the contents of the vocabulary education. 4 schools, 1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sixth grade in eight classes,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the questionnai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74 students of the entire people(41%) selected the “normal”, the evaluation of their own vocabulary. 93 students of all(51%) selected “Very important”. 52% of students chose one of classmates when questioned about the person with excellent vocabulary. 80 people(44%) were recognized by way of vocabulary learning to “read many books”. It turns out that there is no awarenes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1. 서론
2. 조사 대상 및 방법
3. 조사 결과 및 논의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