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For Constructing the Teaching Materials of Literature on Multimodalit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송여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6호, 433~45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7차 교육과정기 이후 문학 교재가 복합양식 텍스트화 되고 디지털 교과서 등 문학 교재의 디지털화가 촉진되어 가는 현실에 대응하는 문학 교재 구성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복합양식성 이론에 기초하여 문자로 된 문학 텍스트가 문학 교재화 될 때 물질성이 달라져 특정 의미를 나타내는 방식과 전체적인 의미가 변화한다는 관점을 취한다. 문학 교재에서 그림의 역할을 시각적 설명의 원리로만 이해하여 제작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그림 텍스트의 구체적 기능이 문학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과 결부되어 달라진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이처럼, 복합양식적 성격을 지닌 문학 교재를 만들 때 장르적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문자와 다른 양식 간의 다양한 교섭 방식을 보여주는 방향으로 문학 교재를 구성하는 것이 심화된 의미 이해를 위한 교육에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서책형 교재, 영상형 교재, 디지털 양방향형 교재 등 문학 교재는 병행적 교육의 교재를 구성해야 하며, 문학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총체적인 구도 속에서 각각의 매체 특성을 살려 담당하는 역할을 달리하도록 교재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teaching materials of literature on multimodal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harateristics of literature genre and media for the teaching materials of literature was researched. The findings of analysis showed that constructing the teaching materials of literature should be done in consideration of genre and media. Genre is important for construct multimodal teaching materials of literature. In the poem-picture text, the function of person in picture is the poetic speaker or listener for emotional empathy of reader. The illustrations of novels are different to those of poetry. In addition, until now the pictures of the textbook have been thought to be for visual explan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icture and text needs to be various for students to understand multimodal text in depth. The types of teaching materials of literature by media are textbook, moving image and digital teaching materials. Each type can play a different role in accomplishing the achievement criteria of literature education. Lastly,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discussed. On configuration guidelines of teaching materials of literature genre suitability, diversity, the role of the media by sharing the principles of materials can be used.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 검토
3. 문학 교재의 텍스트 구성
4. 문학 교재의 구성 방향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