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uture Society’s Need and The Narrative Teaching’s Subjec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선주원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4호, 201~2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국문 초록
연구자는 삶의 총체적 이해, 자기이해, 서사적 정체성 형성, 문학적 문화의 실천이라는 서사교육의 기능을 토대로 하여, 학습자가 서사교육을 수행해 가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서사교육의 과제를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미래 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서사교육의 과제를 서사의 기본 원리에 대한 이해능력(복합 문식성) 증진, 존재론적 경험으로서의 서사 해석과 수용능력 증진, 복합문식성에 의한 서사의 소통과 생산능력 증진, 서사적 존재로서의 자기반성 및 자기이해 도모, 서사적 정체성 형성 도모, 융합적 사고력 증진, 서사치료를 위한 활용 등으로 나누어 논의를 하였다.
영문 초록
Researcher designed the narrative teaching’s subject. The narrative teaching’s subject coinciding the future society’s need, are divided the fostering of understanding competence about the narrative’s basic principle(multiple literacy), the fostering competence of narrative interpretation and reception as a ontological experience, the fostering competence of narrative communication and production by the multiple literacy, planning the self reflection and self comprehension as a narrative being, planning the narrative identity’s forming, fostering the fusion thinking power, using for the narrative therapy.
목차
1. 머리말
2. 서사교육의 목표와 서사교육 논의의 현재
3. 미래 사회의 요구와 서사교육의 방향
4. 미래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사교육의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