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nsformational Reading and Critical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천경록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1호, 7~3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독서 교육의 확장을 위해 독서 목적과 독서 교육 내용을 점검해 보았다. 그 결과, 우리의 독서 교육에서는 독서 목적을 정보 수집이나 텍스트 감상과 같이 주로 개인적 활동으로 설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독서는 사회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왔다. 따라서 앞으로의 독서 교육에서는 독서의 목적으로 개인적 독서뿐만 아니라 사회적 독서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독서 교육의 내용면에서는 그 동안 기능적 문식성을 위주로 내용을 선정하였다. 이는 독서를 통해 개인을 사회에 적응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독서를 통해 사회를 변화 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의 독서 교육에서는 비판적 문식성을 교육 내용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그 밖에 비판적 문식성의 개념, 비판적 읽기와의 차이점, 외국의 교육 사례, 우리의 독서 교육에 도입 방안 등도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contents. In Korea, in the meantime educators emphasized the personal reading to acquire information and appreciate texts as purpose of reading. But reading is historically related to social changes. So, it is needed to set up not only personal reading but also transformational reading which could change society more desirable direction. Also, educators emphasized functional literacy to adapt students to society as reading curriculum contents. Considering the reinforcement of power and inequality through texts, it is necessary to include critical literacy as reading contents. Critical literacy is to read writer’s hidden intention and interpretate multiple perspectives of text as critical stance.
목차
1. 서론
2. 독서 목적으로서 사회적 독서
3. 독서 교육 내용으로서 비판적 문식성
4. 외국 사례와 도입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