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tent of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양경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8호, 141~17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국문 초록
주장하는 글쓰기는 필자와 독자가 이견(異見)이 있음을 인정하고 그 간극을 조정하여 갈등을 해결하는 사회적 합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주장하는 글쓰기 교육 내용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교육 내용으로서의 ‘주장’에 주목하여 주장의 유형과 요건, 주제 제시 방식과 범위를 교육 내용에 반영하고, 독자를 설득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독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 중심으로 주장하는 글의 메시지 구조를 만들어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주장하는 글의 메시지 구조는 크게 문제해결 구조와 문제제기 구조로 구분하였으며 각 구조에 내용 생성을 위한 비계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들을 일반화하여 제시함으로써 필자의 메시지 생성과 구조화를 일원화하였다. 아울러 설득 전략과 기법의 교육을 제안하였다. ‘주장하기’에 대한 사회적 기능을 환기하고 실제적으로 주장하는 글쓰기 교육이 가능하도록 추후 구체적이고 정교한 교육 내용 마련을 위한 지속적인 논의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rgumentative writing recognizes the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writers and readers and has a social consensus which features in resolving conflicts by adjusting the g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ntent of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Focusing on ‘argument’ as the content, I proposed to reflect the type and requirements of an argument. Also the methods and range of argument in the curriculum was suggested to help teach the message structure of argumentative writing, focusing on the information that the reader requires. The message structure of the argumentative text was classified as problem solving structures and problem raising structures. Each structure presents elements for performing a scaffolding role for its content creation. Furthermore an ongoing discussion is necessary for specific and sophisticated contents of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주장하는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
3. 주장하는 글쓰기 교육 내용 실태
4. 주장하는 글쓰기 교육 내용의 개선 방안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