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ment of a diagnostic test tool for struggle writing in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은정(Lee Eun-jeong) 박영민(Park Young-mi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6호, 107~13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쓰기 부진 진단을 위한 문단 수준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쓰기 부진 진단을 위한 규준 점수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천 소재 고등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쓰기 부진 진단 검사를 실시하였다. 쓰기 부진 검사 도구는 묘사, 서 사, 설명, 논증 전개 방식을 활용한 문단 쓰기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생들이 작성한 글은 분석적 평가 방식을 활용하여 채점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서 사, 묘사, 논증, 설명 요인 순으로 쓰기 점수가 높았으는 이는 Cronbachα 0. 821의 신뢰도를 보였다. 또한 검사 도구 하위 요인별 상관 계수와 다국면 Rasch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검사 도구는 일정 수준의 타당도를 확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결과를 통해 쓰기 부진으로 판별할 수 있는 기준 점수는 70. 5점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전체 검사 인원의 5. 4%에 해당되었다.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쓰기 부진 진단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실용도 높은 검사 도구로 기능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paragraph-level test tool for diagnosing struggle writing in high school students and established a standard score for diagnosing poor writing. To this end, 240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were tested for poor writing. The writing struggle test tool consisted of paragraph writing questions using the description, narrative, explanation, and argument development method, and the writings written by students were scored and analyzed using the analytical evaluation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ose with high writing scores in the order of narrative, description, argument, and explanatory factors showed the reliability of Cronbach α 0.821.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sub-factor of the inspection tool and the suitability of the multilateral Rasch model, the inspection tool secured a certain level of valid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ference score, which can be determined as poor writing, was analyzed to be 70.5, which was 5.4% of the total number of inspectors.
This study can function as a practical test tool that provides diagnostic information on struggle writing in high school studen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