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Academic Burnout in (under)Graduate Student: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Qualit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은 박기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호, 705~71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학업소진간의 관계에서 수면의질과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학(원)생을(N=426)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척도(S-scale-A), 수면의 질 척도(SQS), 학업지연행동 척도(API), 한국판 학업소진척도(MBI-SS)를 활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v3.4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수면의 질, 학업지연행동, 학업소진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학업소진과의 관계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학업소진과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과 학업지연행동의 간접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따른 학업소진과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과 학업지연행동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수면의 질, 학업지연행동이 학업소진에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leep qualit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academic burnout for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426 (under)graduate students. To measure the variables, the S-scale-A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SQS (The Sleep Quality Scale), API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and MBI-SS (Korean version of Maslach Burnout Inventory Student Survey) were included in the survey.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low sleep quality,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burnout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in a positive direction.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low sleep qualit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ha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academic burnout.
Conclusions The results specify the mediating role of low sleep qualit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academic burnout for (under)graduate students.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