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 of Nursing Students in Experiencing Hybrid Learning Consisting of Online Theoretical Classes, Online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호, 651~67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감염상황에서 병행수업을 경험하는 간호학생의 비대면 이론수업, 비대면 임상실습과 대면 임상실습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여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새로운 환경에 맞는 교수학습방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방법 간호학생의 비대면 이론수업, 비대면 임상실습, 대면 임상실습을 모두 경험한 일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83명을 대상으로 553개의 진술문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radley(1980)와 Newing 등(2011)이 제안한 영역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진술문의 주제를 선정하고, 주제를 유사한 개념으로 확인하면서 진술문을 범주화하여 영역을 구성하고, 개념과 관련성을 확인하여 대영역, 중영역, 소영역 등으로 분류체계를 구성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로 대영역 6개, 중영역 55개, 소영역 70개로 구성되었다. 간호학생의 비대면 이론수업 인식의 대영역은 ‘낯설음과 새로움의 조화’와 ‘나 홀로 학습의 성장통’이며, 비대면 임상실습 인식의 대영역은 ‘온택트 학습의 다면성’과 ‘흔들리는 학습여정’이며, 대면 임상실습 인식의 대영역은 ‘체험의 가치화’와 ‘현장 감수성의 난관’이다.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학과의 비대면 수업은 현실성이 부여되고 상호작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며, 학습자에게는 자기 관리 능력 개발이 요구되고, 임상실습에서는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를 조정하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online theoretical classes, online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conducted in hybrid(online/offline)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gain insight into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It is also to provide data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the new environment.
Methods 553 statements were collected from 83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both online theoretical classes and clinical practice and offline clinical practi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proposed domain analysis by Spradley(1980) and Newing et al.(2011). The meaningful experience or attributes of the statement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While identifying the subject as a similar concept, the domain was constructed by categorizing statements.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cept,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composed of major domain, middle domain, and minor domain.
Results The data analysis results consisted of 6 major domain, 55 middle domain, and 70 minor domain. The major domain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online theoretical classes are ‘the harmony between unfamiliarity and recency’ and ‘growing pains of learning alone’. The major domain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online clinical practice are ‘diversification of ontact learning’ and ‘insecure learning journey’. The major domain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clinical practice are ‘valuing of experience’ and ‘difficulty of field sensitivity’.
Conclusions Online classes need to be designed to be realistic and stimulate interactions. Learners are required to develop self-management skills and efforts to manage students’ stress levels in clinical practice sessions need to be continu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