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justification of the graduation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the non-curricular curriculum: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민 박동성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호, 521~5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S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비교과 졸업인증제와 인재품의 당위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교내 구성원의 인식도를 토대로 전반적인 제도 운영 방안과 기준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비교과 졸업인증제 및 SCH인재품 경험이 있는 대학 구성원(재학생, 졸업생, 교수)을 대상으로 양적조사와 질적조사(FGI)를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교과 졸업인증제와 SCH인재품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번(F=5.452, p<.001), 학년(F=7.996, p<.001), 단과대학(F=6.592, p<.001), 졸업인증 인식여부(t=5.949, p<.001), 현재 참여하고 있는 비교과 활동 만족여부(t=3.207, p<.01), 대학만족도 여부(t=2.725, p<.05)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재품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낮았으며, 인재품 수여 시기와 인재품 수여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효과성의 기대치가 낮다는 점과 인재품과 장학금 지급 방식에 대한 의견은 대부분 현행유지가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졸업인증과 관련해서는 졸업과 가장 연관이 높은 학년에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과 인증기준이나 설명회, 홍보 등에서는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재품을 통한 장학금 지급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학생들의 성취동기를 제고할 수 있는 방략 모색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legitimacy of the graduation certification system and human resources implemented by S University.
Methods To this end, we tri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overall system operation plan and standard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members of the school,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rveys focus group interview was performed.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graduation certification and SCH talent produc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udent number (F=5.452, p<.001), grade (F=7.996, p<.001), college (F=6.592, p<.001), recognition of graduation certificate (t=5.949, p<.001), satisfaction with non-curricular activities currently participating (t=3.207, p<.01),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t)=2.725, p<.05),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overall perception of talent products was low, and the expectation of effectiveness was low because the timing and number of recipients of talent products were relatively small. appeared to be
Conclusions The implication of this is that, Regarding graduation accreditation, it was confirmed that recognition was high in the grade most closely related to graduation,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colleges in department accreditation standards, briefing sessions, and public relations.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scholarship payment through talent products,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link it with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목차
Ⅰ. 서론
Ⅱ. S대학의 비교과 졸업인증제 및 인재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