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Basic Writing Classes in Colleg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표시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호, 273~28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강의식 수업으로 인해 수동적 참여가 익숙한 학생들에게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기초글쓰기 수업에 프로젝트기반 학습(PBL)을 적용한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방법 경기도 소재 대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2021년 2학기와 2022학년 1학기에 각각 비대면과 대면으로 교양 필수인 기초글쓰기 교과목의 15주 수업 중 7주간 PBL로 운영하였다. 두 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한 수업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및 평가에 대해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PBL 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설문조사와 강의평가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PBL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의사소통과 친밀한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의 삶의 맥락에서 주도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를 인식하고, 이론과 실제를 연결하여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경험적 학습을 통해 글쓰기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다고 인식하였고,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강의식 수업의 대안으로 PBL 수업은 자기 주도적 학습 및 소통과 협업을 촉진하는 다양한 스케폴딩 전략과 멀티미디어 도구 활용을 통해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는 유기적 학습공동체 조성이 관건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PBL on basic writing courses in college with an introduction to a case study of PBL writing classes as an alternative to improv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with writing skills.
Methods For 243 university students in Gyenggi-do, PBL classes were operated for 7 weeks out of 15 weeks of basis writing courses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in the 2nd semester of 2021 and the 1st semester of 2022, respectively. With the detailed report of the class cases that carried out the two projects, the students' reflection journals,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and the survey on the effectiveness of PBL classes, including the final lecture evaluation,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sults As a result, almost all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became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writing through empirical learning by establishing an intimate cooperative relationship, recognizing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context of their lives, and deriving solutions by connecting theory and practice while working on the projects. They also showed very high satisfaction with the PBL classes.
Conclusions As an alternative to lecture-style classes that can make students familiar with passive learning participation, PBL classes need to be highly considered because PBL is key to creating an organic learning community that fosters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which can be attained through various scaffolding strategies and multimedia tools that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Ⅲ. PBL 수업 운영 및 사례 분석 방법
Ⅳ. PBL 적용 기초글쓰기 수업 사례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