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on Childhood's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민아 황혜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호, 201~2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서울과 천안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413명과 유아의 담임교사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도구를 유아의 담임 교사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놀이이해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매개하여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놀이관찰⋅분석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매개하여 유아의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놀이운영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또는 부분 매개하여 유아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의 놀이반응⋅소통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매개하여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서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개발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on childhood's self-effica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13 3-years-old, 4-years-old, and 5-years-old children and 40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Th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childhood'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ools were evaluated by the child's teacher.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three-stage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n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Sobel test.
Result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childhood's self-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comprehension competency mediate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physical, and social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observation and analysis competenc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social and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by full mediati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operation competenc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and social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by full or partial mediati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Fifth,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respon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physical, and social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by full mediati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and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order to improve childhood's self-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