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ssociation between salt taste perception, habitual salt and sugar intake, and sugar foods consump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소영 계승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호, 85~9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짠맛식행동과 단맛식행동을 파악하고, 짠맛 미각판정 결과를 토대로 짠맛선호도와 짠맛식행동과 단맛식행동 및 당류식품 섭취빈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시에 위치한 중학교 한 곳 남녀 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짠맛식행동과 단맛식행동 및 당류식품 섭취빈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짠맛 미각판정은 염도가 1.25%, 0.63%, 0.31%, 0.16% 및 0.08%의 5단계 농도의 시료로 염미도를 평가하였으며, 이 결과에 의하여, 조사대상자를 짠맛군, 보통맛군 및 싱거운맛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짠맛 미각판정결과, 짠맛 선호도가 남학생은 보통맛(염도 0.31%)에 해당되는 인원이 39.9%, 여학생은 약간 싱거운맛(염도 0.08%)에 해당되는 인원이 38.7%로 가장 많았다. 짠맛식행동 평가에서는 10개 항목 중 한 항목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단맛식행동 평가에서는 10개 항목 중 4개 항목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짠맛 미각판정 결과에 의한 짠맛선호도는 짠맛식행동, 단맛식행동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짠맛식행동과 단맛식행동은 거의 모든 당류식품 섭취빈도와 그리고 짠맛선호도는 당류식품 중 가당음료, 빙과류 및 초콜릿 섭취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짠맛군은 보통맛군과 싱거운맛군보다 짠맛식행동 및 단맛식행동 점수가 높았으며, 당류식품 섭취 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에서 짠맛 미각 판정, 짜게 먹는 식행동과 달게 먹는 식행동 및 당류식품 섭취빈도는 서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학교에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당류 및 나트륨 섭취 저감화 교육을 함께 연관시켜 실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habitual salt and sugar intake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 whether salt taste preference using salt taste tests is associated with frequency of sugar food intake.
Methods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in 256 male and female students at middle schools in the Seoul province from December 11 to December 20, 2019. Habitual salt and sugar intake and frequency of sugar food consumption were assessed including the administration of salt taste tests.
Results The salt taste tests showed that 39.9% of male students preferred a moderate (0.31% salinity) salty taste, whereas 38.7% of female students preferred a slightly bland (0.08% salinity) taste. In evaluating habitual salt intake, 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one out of 10 items. In evaluating habitual sugar intake,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four out of 10 items. According to the salt taste test, preference for sal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abitual salt and sugar intake. Habitual salt and sugar intak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almost all sugar foods; whereby, the preference for salty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sweetened beverages, frozen desserts, and chocolates. The group that preferred salty had a higher score for habitual salt and sugar intake than that of the groups that preferred moderate and bland tastes. Additionall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 that preferred salty had a more frequent sugary foods consumption.
Conclusions The perception of salty, habitual salty and sugary food intake, and frequency of sugar food consumption were all associated. Consequently, schools should provid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help reduce sugar and sodium intak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