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본 연구는 국어교육 평가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참조할 수 있는 이론이 체계화되지 못했다는 반성에 의해, 국어과 정체성을 확보하면서 국어과 평가 실행 과정에서 참조할 수 있는 중간 층위의 이론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이를 위해 읽기 선택형 평가를 중심으로 하되, 국어 교사의 평가 실행 과정에서 도출되는 질문들을 가공, 추상화하여 핵심 질문을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국어과 평가의 이론적 모형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결과:총 12개의 핵심질문 중 2개, 첫째, ‘국어과 평가의 대상은 자료인가, 능력인가’. 둘째, ‘선택형 평가로 발산적 사고가 평가 가능한가?’의 질문에 이론적으로 답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론:이를 통해 일반 교육학 이론 및 국어교육학 이론을 조회하면서 세부 쟁점들을 중심으로 국어과 평가론을 구체적으로 구성해 가는 과정을 보이고 국어과 평가의 이론적 모형을 가시화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This study is proposed for theorizing Korean Language Assessment. Methods:For this purpose, it is focused on Korean teachers’ essential questions emerged during designing and implementing assessments. Results:From 12 essential questions, this paper focuses on two questions as follows:First, ‘What is assessment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texts or competence?’ Second, ‘Can multiple-choice test item does assess divergent thinking?’ Conclusions:Through answering these two essential questions with inquiring pedagogical theories and exis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ories, we have theorized Korean Language Assessment and draw main issues in detailed.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
3. 핵심질문을 통한 국어과 평가론의 체계화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