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tent of Narrative Teaching for Understanding the Way of Action of Narrative Image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선주원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6호, 7~3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국문 초록
목적:이 글은 서사물에서 언어적 서술이나 그림을 통해 구현된 서사적 이미지의 작용 방식을 살펴보는 것이 이미지의 다중적 의미 구현을 타당하게 해석하는 방도가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방법:언어적 서술이나 그림을 통해 구현된 서사적 이미지에 초점을 두어 그 작용방식을 살펴보았다. 결과:소설에 나타난 언어적 이미지화에 의해 작중인물의 무의식과 억압의 변형 표현, 서술자가 특정하게 보는 방식 구현, 숨겨진 것의 가치 구현 등이 이루어짐을 살펴보았다. 결과:그림책에 나타난 도상적 이미지화에 의해 시선을 통한 주체적인 의미 생산이 이루어짐을 살펴보았다. 결론:서사적 이미지의 작용 방식을 학생들이 이해하고 해석하여 그것을 실제 삶과 연계하는 ‘수용과 생산’을 위한 서사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This article emphasizes that looking at the action of narrative images implemented through linguistic descriptions or illustrations in narratives can be a way to reasonably interpret the multi-meaning implementation of images. Method:We focus on epic images implemented through verbal descriptions or pictures to explore how they work. Results:This article examines the linguistic image of the novel, such as the unconscious and transformative representation of the character, the way the narrator sees it specifically, and the value of the hidden. We looked at the subjective meaning production through the gaze by the pictorial image shown in the picture books. Method:Students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 way narrative images work and presented the content of narrative education for ‘acceptance and production’ that links them to real life.
목차
1. 머리말
2. 이미지화와 이미지, 서사적 이미지
3. 서사적 이미지의 작용 방식
4. 서사적 이미지의 작용 방식 이해를 위한 교육 내용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