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se of Metadiscourse Markers in Korean language Editorials by Native Speakers of English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강영란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7호, 517~54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논설문에서 언어숙달도에 따른 메타담화표지 사용 유형과 빈도의 차이를 검증하여 메타담화표지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 영어가 모어인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논설문 126편의 자료를 대상으로 Hyland(2005)의 메타담화 모델을 분석틀로 설정하여 메타담화표지의 사용 유형과 빈도를 추출하였다. 학습자의 언어숙달도에 따라 메타담화표지의 사용 유형과 빈도가 달라지는가를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영어가 모어인 한국어 학습자는 언어숙달도가 높아져도 메타담화표지의 사용 유형과 사용 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메타담화표지의 사용은 언어숙달도가 높아지더라도 습득하기 어려운 담화지식임을 밝히고 메타담화표지에 대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patterns of metadiscourse markers, by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metadiscourse markers, according to language proficiency in the discourses writte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Methods: Using Hyland's(2005) metadiscourse model as an analysis frame,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metadiscourse marker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of 126 editorials written by English-speaking Korean learners. It was analyzed through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hether the use type and frequency of metadiscourse markers changed according to language proficiency. Results: Even if the language proficiency level of Korean learners with English as their mother tongue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and frequency of use of metadiscourse markers. Conclusion: The use of meta- discourse markers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at discourse knowledge is difficult to acquire even if language proficiency is high, and shows that education on meta discourse markers should be continued.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