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시여가공간으로서 복합쇼핑몰의 사회문화적 의의

이용수 68

영문명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Shopping Mall as an Urban Leisure Space: A Social Construction of Space Approach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沈昌燮 徐龍錫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34권 제6호, 191~21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contemporary urban areas, shopping mall has been considered as a space for spending leisure time as well as a space for buying goods. In this article, shopping mall is analyzed as a socio-cultural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struction of space, which emphasizes socio-cultural meanings of a particular space rather than physical characteristics. Many scholars in the field of geography, anthropology, sociology, and recreation and leisure studies have found that shopping mall has three characteristics as a space including a post-modern space, a space of globalization and local identity, and a new public space. Based on the three characteristics about shopping malls, this article concludes that shopping mall as a urban leisure space reflects the commercialization of leis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도시여가공간으로서 복합쇼핑몰의 의미
Ⅳ. 도시여가공간으로서 복합쇼핑몰의 함의: 여가의 상업화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沈昌燮,徐龍錫. (2010).도시여가공간으로서 복합쇼핑몰의 사회문화적 의의. 관광학연구, 34 (6), 191-210

MLA

沈昌燮,徐龍錫. "도시여가공간으로서 복합쇼핑몰의 사회문화적 의의." 관광학연구, 34.6(2010): 191-21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